한글 Hangle 문자 언어 시스템 Korean Alphabet System 에듀인 Eduin

강사 소개
강좌 안내
수강 신청 안내
학습 진행 안내
한글 관련 문의
Top Collection
이젠 나도 (ty)를...
 
기음 된소리 / AsTis: Aspirate + Fortis
 
받침자음
AsTis 'ㄷ/ㅌ'의 특징
LexTis
© HanEdu All Rights Reserved .
AsTis란 무엇인가?
 
받침 'ㄷ/ㅌ' 'AsTis d/t'  규칙에 따라 구개음 또는 기음화 Pattern을 지닌다!
    
AsTis: Aspirate + Fortis
 
 
// 이제 '7종성'에 얽매이지 말라... : cup[?], group[그?
AsTis는 'ㅅ, ㅈ, ㅊ, ㅋ, ㅌ, ㅍ, ㅎ' 받침소리와 관련이 있다.
 
'ㅌ'과 결합되어
뒷음을 fortis로 이끌지않는 렉스(flex)   <- flex
 
// 앞받침: ㅌ
ex) 옷과: otgwa, 옷에: otse
 
뒷음을 fortis로 이끄는 , ㅊ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<- 구개음화
 
// 앞받침: ㄷ
ex) ž같? otggwa, ž걀? otje
 
뒷음을 aspirated로 이끄는 ㅈ,            <- Aspirated
 
// 앞받침: ㅌ
ex) 옻과: otsgwa, 옻에: otche
'ㄱ' + 'ㅎ'
aspirated, ㅌ, ㅍ
'ㄷ' + 'ㅎ'
aspiratedㅋ, , ㅍ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AsTis
'ㅂ' + 'ㅎ'
aspiratedㅋ, ㅌ,
hidden 'h'로
뒷음을 aspirated 이끄는
 
 
받침 'ㄷ/ㅌ'은 뒤따르는 음의 변화에 따라 결정
 
뒤따르는 음이  fortis 'ㄸ'이면 -> 받침 'ㄷ' -> 구개음
 
 
뒤따르는 음이 치음 '츠'이면 -> 받침 'ㅌ' -> 기음화
 
 

 
'사[sait]'이라는 말은 한정사인 '사이'의 '의'에 대한 줄임에서 생겨난다.
 
(받침 'ㄷㅌ'은 뒷음에 따라 류동적... AsTis )
    // 뭔가 감이 잡힐듯하다가... 아직 연구... 그래도 © 한글(Hangle)
   
뒷음이 //ㄷ////이면 -> 받침
AsTis 
   
뒷음이//////이면 -> 받침
    (between/interval) + 음(sound)
combine
   
-> 사 음[said eum] - 음[saideum]
- unite with 'ㅅ'
   
-> 음[saideum]   - [saedeum](×)
-> deflex 
   
-> 음[saideum]   - [saieum](?)
-> deflex 
   
-> 음[saideum]   - [saedeum]
- compound with 'ㅅ'
  잠시 뇌리에 머무르다 건듯 스쳐지나가는... 뭔가 감이 잡힐듯... 재차... 분명 놓치고있는 뭔가가... // 예전에 느껴보았던 'angle'... 그런 느낌? -> inspire
  '사이시읏'에서 '사잇'이라는 받침 'ㅅ'이 등장하게된 배경 - 왜 들어가는지 - 이 아래 <사이+길>의 결합에서... // ... 예제 단어와 단어는... 아래...감잡았고... // 결합방식... 아래에서 재차 확인했고...
    이+길 -> 사이길 -> 사읻길 -> 사잇길 -> 샛길 (?) (×)
      '사이길'은 전체가 웬지 맨숭맨숭하고...  
      '사읻길'은 뒷말이 웬지 껄끄럽고...  
      '사잇길'은 앞강세 단모음... 티(ty)내기? -> flex -> sait
      '샛길'은 앞강세 단모음... 좋아!  
      '길'은 괜찮은듯... 자꾸 끌리넹  
      '길'은 ...긴가민가?... 어쩌면...이게...?
-> deflex 
    (between/interval) + 소리(sound) combine
   
소리 -> 사 소리[saitsori] - 소리[saitsori]
- unite with 'ㅅ'
   
소리 -> 소리[saitsori]   - 소리[saetsori](×)
-> deflex 
   
소리 -> 소리[saitsori]   - 소리[saisori](?)
-> deflex 
   
소리 -> 소리[saitsori]   - 소리[saetsori]
- compound with 'ㅅ'
    (bird) + 소리(sound) combine
   
소리 -> 새소리[saesori]   - 소리[saetsori]
- combine with 'ㅅ'
   
: 앞강세 단모음    
 
사잇소리는 앞강세 단모음에 따라 가변적으로 쓰인다.
'''처럼 겹모음으로 구성될 경우 ''같은 사잇소리는 배제된다 -> deflex
 
#
사잇소리[saitsori]
 
fortis[ㄲ, ㄸ, ㅃ, ㅆ, ㅉ]은
 
단순받침자음[ㄱ, ㄷ, ㅂ]과 뒷음을 fortis
fortis[ㄲ, ㄸ, ㅃ, , ㅉ]는 // 'double flex'
 
강세 지닌 받침자음[ㅌ]과 뒷음을 fortis
  여기서 '~'라는 것은 '해당되면 그렇게 변한다'는 의미= fortisize
 
   
AsTis: Aspirate + Fortis
   
음이 fortis로 변하면 -> 앞받침은 'ㄷ' -> 뒷음은 구개음
   
 
음이 Aspr.로 변하면 -> 앞받침은 'ㅌ' -> 뒷음은 기음화
       
↓↓
AsTis 'ㄷ/ㅌ'의 구분
 
'ㅈ' 준치경파열음(quasi alveolar stops) 받침소리와 'ㅎ'이 결합하여 아래처럼
 
1)
받침 'ㅌ'이 쓰이면 aspirated치찰음 '츠'로 된다.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©2018 한글(Hangle)
  치찰음 '츠'로 되면 aspirated化되었기에 앞말은 받침 'ㅌ'이 쓰인다.
 
ex)
궂다: undesirable, bad, ill => '‚ž'
   
+ ㅈ히  -> ‚ž치
 
- Hn
   
gutj
hi
gut + jhi  -> gut chi
 
평준 강세
* 한글에선 받침 'ㅌ'이 그대로 남아있다.
 
   
gutj
hi
gut + jhi  -> gut chi
-> gu chi
- En
   
+ ㅈ히  -> ‚ž치
->
앞 강세
* 영어에선 받침 'ㅌ'이 사라지고 대신 강세가 있다.
2)
받침 'ㄷ'이 쓰이면 fortis된소리 'ㄸ'로 되고, palate(구개음) 'ㅈ/?'로...
  된소리 'ㄸ'로 되면 fortis化되었기에 앞말은 받침 'ㄷ'이 쓰인다.       - ©2018 한글(Hangle)
 
ex)
궂다: undesirable, bad, ill => ''
   
+ ㅈ히  -> 굳ㄷ히
-> 구
-> 구
- Hn
   
gudj
hi
gud + jhi   -> gud dhi
-> guddhi
-> guji
평준 강세
         
fortis 'ㄸ'에서 평준강세가 되려면 'ㅈ'로 변화 => 구개음화
        HanEdu
이처럼 구개음화는 평준강세를 도모하는 차원에서 도입된다. //영어에선...
 
   
gudj
hi
gud + jhi   -> gud dhi
-> guddhi
-> guddi
- En
   
+ ㅈ히   -> 굳ㄷ히
->
->
앞 강세
         
//영어에선 fortis로 표기하지만 발음은 fortis로 하지않고, 대신 앞 부분에 강세를 둔다.

'miss & mistake'에서 Flex 개념이 드러난다.
 
 
치경파열음(bottom alveolar stops)인 받침 ''과 ''이 결합하여
 
1)
한글에선 'ㅌ(t) + ㅎ(h)'이 치음 ''로 aspirated된다 <= 균형강세 위해.
 
ex)
같다: same
  *
같 +   -> 같
   
gatt
hi
gat + t+hi   -> gat chi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Hn
  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cf) -> 치   -> 동화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cf) 같티 + 같ㅌ티  -> 갇띠
cf)
 
cf) 'ㅎ' 이외의 자음은 Fortisize + 탈aspi
*
같게 + 같ㄱ게  -> 같께 -> 갇께      // 같도록 / 같지
   
gatt
ge
gat + t+ge  -> gat gge -> gad gge   
         
         
  cf) 초성 Fortis化는 받침 탈aspi化로 귀결
   
Vice versa  
    그래서 'AsTis 'd/t'라고 한다.
cf)
받침 'ㅌ' 뒤에 'ㅇ(void)' 자음이 오면 균형발음- Hidden 't' 소멸
  ex)
+ 티      -> 가티          // 앞 강세 -> 동등강세: 짧게
   
gatt
i
gat   + ti      -> gati          // 영어식: 장모음*니중모음
    //
여기서 't'를 뒤로 보내면서 균형강세를 이룬다.
    //
한글은 균형강세를 위해 연음화한다.              - ©2018 한글(Hangle)
    //
영어는 앞강세를 위해 fortis화 시킨다.
   
cf)
En)
가ㅌ + 티     -> 가ㅌ티     -> 티     // 앞 강세
   
gat + ti        -> ga tti     -> gatti
    //
만약 여기서 't'를 소멸시키지않으면 균형강세를 위해 구개음화
   
Hn)
가ㅌ + 티    -> 가ㅌㅌ   -> 가     // 균형강세 -> 구개음
   
gat + ti       -> gat tti      -> gatchi   // hidden 't'
     
 
이런 질문을 한 경우도 있었다.
    '봄볕을'을 '봄벼츨'처럼 'ㅣ'가 아닌 'ㅡ' 환경에서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나요?
     
 ) 아래는 이기희의 개인적 견해가 많이 반영된 것으로, 뭔가 가닥 - 돌고 도ㄹ는 받침자음의 순환 - 이 잡힐듯하다가 묘연해져 일단 미흡함을 뒤로한채 나서본다. © 한글(Hangle)  
    -> 말이란 상호 유기적 관계로 구성되어 있는 터라 가변적이다. 다시말해, 단순히 '볕을'로만 구성되었다면 먼저, 한글식의 경우에 앞 강세의 hidden 't'에 따른 균형강세로 뒷부분이 aspirated되어 '벼ㅌ츨'처럼 발음된다. (// 아니면 영어식의 '벼틀'처럼 연음화... // 물론 영어에선 fortis 표기(byeotteul[틀])에 앞강세 단순 자음으로 발음되겠지만..).
    -> 여기서 또 한가지 주목할 부분은 앞에 '봄'이라는 말이 붙을 경우 ('ㅁ'이 중간치 - 'ㄴ'은 약하고, 'ㅂ'은 강한 - 폐쇄형이라) 뒷말은 '볕'에서 '–뼡'처럼 초성이 fortis로 되고, 또한 받침 'ㅌ'도 <AsTis 'd/t' 규칙>에 따라 '볃'처럼 받침 'ㄷ'이 요청된다. 그리고 끝말은 hidden 't'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강세를 지닌 '틀'로 된다. 즉, '봄볕을'은 '봄뼏틀/봄뼈틀'처럼 된다. // 물론 LexTis 규칙에 따라 '볕'의 받침 'ㅌ'이 붙은 '봄볕츨'도 가능하겠지만... <- LexTis
    -> 위에 언급한 내용, 즉 AsTis나 LexTis 규칙을 회피하려면 표기는 그대로 두고 읽기만 Flex, 즉 받침 'ㅅ'化하여 발음하면된다. 다시말해, 폐쇄형 받침이 붙은 '봄'에 AsTis化될 '볕'을 받침 'ㅅ'이 붙은 '볏'처럼 하고 뒷음을 '을'에서 '슬'로, 즉 '봄볏슬'처럼 발음하면 편하고 좋은데, 아직 이런 규칙이 적용되지않아 많이 불편하다.
    정리)
    -> 위의 설명처럼 '볕'의 hidden 'ㅌ'을 소멸시키지않으면 '봄볕츨'처럼 읽을 수도 있겠지만, 여기선 연음법칙에 따라 '봄뼈틀'처럼 읽는 것이 합당하다. 왜냐면'봄벼츨'의 경우엔 균형발음과 어울리지 않기때문이다. // 'fortis, flex, aspirated s. 등은 강세와 관련...
      // 여기서 한가지 좋은 지적 - 구개음화가 꼭 'ㅣ' 환경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것 - 에 필자도 동의한다.  => Buddha(붓다-> 부처/부차)
   
Hn)
가ㅌ + 티    -> 가ㅌ티      -> 가      //균형강세 -> 구개음
   
gat + ti       -> ga tti      -> gachi
 
2)
영어에선 'ㅌ(t) + ㅎ(h)'이 무성 치찰음(voiceless dental fricatives)인 [θ]로 된다.
 
ex)
같다: same
  *
   
gatt
hi
gat + t+hi   -> gat thi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En
       
gat + t+hi   -> gat [θi] => [θ]lize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   
- En
같 + ㅌ히  -> 같θl             // 앞 강세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©2018 한글(Hangle)
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 [θ] = [ㅅㅎ] 
   
- Hn
같 + ㅌ히  -> 같ㅅ히        // 균등 강세 
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ex) 아니 ㅅ허 해가 솟았나?
       
          => 아니 해가 솟았나?
  cf)
같 + 티      ->        // 앞 강세 -> 앞강세            HanEdu
   
gatt
i
gat + ti     -> ga tti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[티]
       
 
영어에서 'gatti'의 경우 'tt'를 fortis로 읽지않고 대신 앞 부분 'ga'를 강하게 읽는다 => 렉스(Flex)
 
치경파열음(bottom alveolar stops)인 받침 ''과 ''이 결합하여
 
1)
한글에선 fortis된 된소리 ''로 된다.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©2018 한글(Hangle)
 
ex)
굳다: hard, solid firm, tight
   
굳 + ㄷ히  -> 굳
   
gudd
hi
gud + dhi   -> gud ddi 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Hn
         
=> fortisize:  굳띠   <= 붓다/붇따(Buddha)
         
=> Aspirated: 구티  <= '부처'로 변한 건 오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=> 굳띠  -> 띠  -> 디          - En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=> 굳띠  -> 띠  ->  guddi      => fortis 배제
cf)
받침 'ㄷ' 뒤에 'ㅇ(void)' 자음이 오면 균형발음이 안되므로 구개음 '?'
   
굳  + 디      -> 굳디           -> 구띠       -> ?[]
   
gudd
i
gud + di    -> gud di     -> gu ddi  -> guji  
  =>
구개음화(Palatalization)는 균형강세를 위해 도입된다 => 구개음화
 
2)
영어에선 유성 치찰음(voiced dental fricatives)인 [ð]로 된다.          HanEdu
 
ex)
굳다: hard, solid firm, tight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   
굳 + ㄷ히  -> 굳띠
   
gudd
hi
gud + dhi   -> gud dhi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Hn -> En
         
=> fortisize:  굳띠      <= 붓다/붇따(Buddha)
         
=> fortis 배제/앞강세  <= 부다[budda]
         
=> voiced th: 굳디      <= 붇다[budða]
   
gudd
hi
gud + d+hi   -> gud dhi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En
       
gud + d+hi   -> gud [ði] => [ð]lize
   
- En
굳 + ㄷ히  -> 굳ðl             // 앞 강세
      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 [ð] = [ㄷㅎ] 
   
- Hn
굳 + ㄷ히  -> 굳ㄷ히        // 균등 강세  -> Aspirated: 구티
  AsTis 예제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©2018 한글(Hangle)
*
[baocun]/ (): preservation; conservation; storage
        여기서 '存'의 초성은 'ㅌㅅ'보다 약하면서 약간의 fortis 성향인 'ㄳ' 발음 -> AsTis
        즉, 'ㅊ'와 'ㄲ'의 간 발음 -> 발음 듣어보기
        cf) 영어 'c'를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? => Go
        cf) '' 둘러보기 => Go

구개음화(Palatalization)란?
   
 먼저, 구개음화 영역에선 형태소의 변화, 즉 '받이'는 '지탱하다(support/sustain)/receive'의 뜻인 '받'이라는 형태소와 <대상>을 나타내는 '이'라는 형태소의 결합으로 앞강세를 다룬다. 여기서 '받이'가 연음되면 'body'의 발음인 [바디]처럼 되지만 '바디'는 하나의 형태소로 구성된 단어이고, 한글에선 앞*뒤 평강세로 다루지만 영어에선 '디'처럼 앞강세이다. 이처럼 강세적인 측면에서 변화가 도출되려면 음소의 변화가 도입, 즉 받침 'ㄷ'이 초성 'ㅈ'처럼 되어 'trousers의 뜻을 지닌 '바지' 는 그 자체가 하나의 형태소인 단어로 구성되어있으며, 앞*뒤 평강세로 발음된다. © 한글(Hangle)
     
치경파열음alveolar stops) 'ㄷ' 받침소리와 'ㅎ'이 결합하여 'ㄸ'로 Fortis되거나
     
치경파열음alveolar stops) 'ㄷ' 받침소리와 'ㅎ'이 결합하여 'ㅌ'로 Aspirated되고,
     
치경파열음alveolar stops) 'ㅌ' 받침소리와 'ㅎ'이 결합하여 'ㅊ[ts]'로 Aspirated되는
     
것이 하나의 Pattern이다.
     
  그런데,
     
치경파열음alveolar stops) '' 받침소리와 ''이 결합하여 치경경구개파찰음인 '?[]'로
     
      palatalize되거나 
     
치경파열음alveolar stops) '' 받침소리와 ''이 결합하여 치경경구개파찰음인 'M[]'로
     
      palatalize되는 것을 구개음화'라고 한다.    
 
여기서 '구개화(palatalize)'라는 것은 간을 올려 Alveopalatal + Affricates되는 것으로,
 
모음 'ㅣ' 또는 (반모음) ' j '와 결합될 경우 좁은 측면의 구개음 현상이 많이 일어난다.
 
 
Palate
 
왜/어떻게 구개음(Palatalization)가 생겨났는가?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©2018 한글(Hangle)
 
먼저, 아래 예제를 살펴보자.
 
          <받이/바디/바지>  
            把: 잡다
            持: 지탱하다
  
#
분명 뭔가 관련성이 있는 것 같은데...?
 
    버다  -> 버다
   -> 벋다
        벋이: buddy[디] - 같이 벋어나가는... 형제/동료/친구
   
(ㄷ -> ㅈ) -> 구개음화
     
벋이: buddi[버디 -> 버]:
        -> 벋지/budji/버지
  :
 -> ~지
   
[버디/버지]는 동급/하급 관계를 나타내므로 father의 '아버지'는 '아부지'로 ...
  ex1)
굳다: hard, solid firm, tight
   
Semi-sait인 '받침 'ㄷ/ㅌ'은 fortis 즉 'ㄷ'은 'ㄸ', 'ㅌ'은 'ㅌㅌ'을 전제로 한다.
    *
굳 + ㄷ히    -> 굳띠
     
gudd
hi
gud + dhi   -> gud ddi
-> Fortis / 디(En)
         
    어감(euphony) 위해 '굳띠' => '구지'
         

cf)
붓다(Buddha)/다(En)
    // 佛體[futi] -> 푸티 -> 부처
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
     *
굳 + ㄷ히    -> 굳티
     
gudd
hi
gud + dhi   -> gud ti
    *
‚ž
‚ž + ㅌ히    -> ‚ž치
     
gutt
hi
gut + thi    -> gut tsi
    *
‚ž
‚ž + ㅌ히    -> ‚žM/취
     
gutt
hi
gut + thi    -> gut chi
-> Palatalize
         
Palatalization = Alveopalatal + Affricates
  =>
구개음화(Palatalization)는 균형강세를 위해 도입된다. // Bold체: 강세
  Hn *
+ 디       -> 구        -> 구
     
gudd
i
gud + di    -> gu ddi      -> gu ji
     
 
굳이: 앞 강세
앞 강세
뒤 강세 균형강세: '' => ''
     
    ↓ <- 균형강세
=> 한글은 균형강세, 즉 소리를 고르게 배분하기 위해 구개음(Palatal:AlveopalatalAffricate)의 유형(Pattern)을 도입한다.
     
  [ 구디 ]
구개음화는 발음에 있어서 일종의 Pattern이지 표기까지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. // 구지
 
'맏이' - firstborn
    '디'
     
    '마디' - joint, node

 
'~받이'
    파지(把持/바치/bachi]): '바치'에서 <'받혀'입다>의 '바지'로
       
'~이'는 대상(사람/물건)을나타내는 말
        把: 잡다
        持: 지탱하다
       
cf)
'바치다'라는 동사도 같은 맥락으로...
       
cf)
'receive'의 뜻인 '받다'라는 동사도 같은 맥락으로...
   
cf) 씨받이  
    또한 아랫도리 옷을 '바지'라고 하는 것도 '받이'에서 구개음화되어...
      막바지 <- 막받이
        우리가 흔히 '바지사장'이라고 하는 것도 실제론 '받이사장'에서 구개음화되어...
    =>
영어 문장에서도 구개음화의 유형(Pattern)이 있다.   <- 반모음 'j' 연계
    *
did
you
didd + you  -> did dyou   -> di ddyou  -> di jyou
         
 
d     -> 
 [~~]
     
디드
 딛    + 유      ->            ->            ->  
     
디드 유: 평준강세
/듀: 앞 강세
     
    : 뒤 강세
 
강세 균형: '' => ''
영어 문장에서 '균형강세'라기보단 '뒷강세'를 위해 한글에서의 구개음화와 같은 Pattern이 적용된 점은 주목할만하다. 실제로 영어에선 ...
   
영어 단어에선 이러한 면을 뒷부분은 fortis로 표기하지만 발음은 fortis로 하지않고 앞 부분을 강하게 읽는다.
  En *
gudd
i
gud + di    -> gu ddi [gudi]
     
  굳  + 디    -> (guddi)
     
 
앞쏠림 두드러짐
  영어에서 'guddi'의 경우처럼 뒷부분이 fortis음일 경우: 앞 부분에 암묵적 강세가 있고, 뒷음을 fortis로 읽진 않는다. 즉, 소리의 균형보단 rhythm을 중시한다.
 
=>
렉스(flex)
 
ex2)
같다: same, equal, alike, similar
   
갇 + ㄷ히  -> 갇띠
   
gadd
hi
gad + dhi   -> gad dhi
  *
+ ㅌ히  -> 같치
   
gatt
hi
gat + thi   -> gat chi     // 붓다 -> 부: => Buddha
         
  *
같 + 티      -> 가ㅌ티       ->      <- 갗이
   
gatt
i
gat + ti    -> ga tti       -> ga tsi
   
    ↓ <- 균형강세
앞강세
뒷강세
균형강세
   
  [ 가티 ]
구개음화는 발음에 있어서 일종의 Pattern이지 표기까지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.
 
 
이런 질문:
    '봄볕을'을 '봄벼츨'처럼 'ㅣ'가 아닌 'ㅡ' 환경에서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나요?
    -> 위의 설명처럼 '볕' 뒤에 hidden 'ㅎ'가 부각되면 균형강세를 위해 '봄볕츨'처럼 읽을 수도 있지만 ... => '봄볕을' 상세보기
      // 여기서 한가지 좋은 지적 - 구개음화가 꼭 'ㅣ' 환경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것 - 에 필자도 동의한다.
 
=>
 
=>

Learning Hangle
 
 환영하니다
 개정 알림>Go
 어쩌다 이렇.
 inspire/령감
한글 장점
Go
 가로/세로/H*V
 클론 → 글자
 프로그램 글자
한글 특강
Go
 겹모음/Dual V.
 Flex 모든 것
 '하->해'
 Expression
 With En/Hn
 Hangle Band
(광고/홍보)